우리는 살면서 여러 게임을 해보고, 이야기한다.
옛 오락실 세대든, 피시방 세대든, 게임을 많이 해본경험은 다들 있을 것 이다.
그런데 이런 게임들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의문을 품어본적이 있는가?
필자도 예전 플래시 게임을 통해 게임을 만들고 싶다고 생각했었고,
지금 현재, 게임 개발 공부를 가끔씩 하곤 한다.
그때는 게임을 만드는 방법을 몰라 몇시간씩 인터넷을 뒤져본 기억이 난다.
그래도 자세한 방법은 나와있지 않았고, 게임엔진이라고는 말하기도 힘든
파워포인트로(...) 게임을 만들고, 스크래치로 게임을 만들어 보며, 게임메이커 스튜디오를 구매해 만들고,
현재는 유니티를 배우며 게임개발을 하려 공부중이다.
서론이 길어졌지만, 게임 개발에 중요한 정보들을 먼저 아래에 말하고 제작하는법을 서술 하겠다.
먼저 게임을 만들기 위해서는, 게임 엔진과 그 게임엔진에 맞는 언어를 습득해야한다.
여기서 게임엔진은 전화기로, 언어는 언어로 생각하면 된다.
세상에는 여러 언어와 여러 전화기가 있다,
또, 전화를 받는 사람의 언어도 다를 수 있다.
전화를 받는 사람에게 전화기(게임엔진으)로 전화를 받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해야 정보가 전달된다.
그렇듯 언어 또한 사람이 컴퓨터한테 명령을 할수 있는 언어라 보면 된다.
예를 들어보자.
이런식으로 배치를 해놓았다 치자.
그럼 오른쪽에 명령하는 공간에 명령을 해야 객체는 알아들을수 있다.
(객체는 오브젝트, 즉 그냥 물체라 보면 된다.)
한번 이런식으로 명령을 해보면 오른쪽으로 갈 것이다.
이렇게 말하면 되지만,
객체가 이런식으로 하면 알아듣지 못할것이다.
그 이유는 객체는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이다.
그래서 객체가 쓰는 언어를 써서 말해줘야한다. (앞의 예시만 있는게 아님)
또한 객체는 위에서 아래로 읽는다.
객체가 사는 나라는 가로를 x로 세로를 y라고 부르고, 오른쪽과 위쪽은 +, 아래쪽과 왼쪽은 -라 한다.
그러면 object.x =object.x + 1를 해석하면
object.x(객체.가로) = object.x(객체.가로) + 한칸
이런식이다.
또한 조건을 줄수도 있다.
객체가 사는 나라는 괄호 안에 있는 말을 ~하면 이라 알아듣고,
중괄호 { <-이것 안에 있는 말은 ~를 해라 라고 알아 듣는다.
그럼 위를 해석하면
만약 버튼을 눌렀으면 object.x(객체.가로) = object.x(객체.가로) + 한칸을 이동해라 라는 말이 완성된다.
이 처럼 한글로 명령하는것을 번역한것과 같다.
우리가 한글로 말하는것보다 짧고 쉽다.
하지만, 영어와 한국어가 다르듯,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가 다르기에 조심해야한다.
이제 본격적으로 게임만드는 방법에 대해 말해주겠다.
일단 위에를 안보았으면 무조건 보아라.
위에서 말했든 게임엔진과 언어를 소개를 하겠다.
그러니 그 엔진의 특성을 잘 살펴보아라.
1. scratch
사이트 주소: scratch.mit.edu/
Scratch - Imagine, Program, Share
Scratch is a free programming language and online community where you can create your own interactive stories, games, and animations.
scratch.mit.edu
가장 기본적인 스크래치이다.
스크래치는 블록을 언어로 하는데, 그림판 툴도 필요가 없고 바로 만들수 있다.
하지만, exe 파일로 만들거나 게임을 팔순 없으니 주의.
2.게임 메이커 8.0 프로그래머
이건 판매중지했으나, 사이트를 찾으면 다운받을수 있을것이다.
이것도 스크래치랑 비슷하긴 하지만 약간 어렵다.
또한 코드도 섞여있다.
장점은 exe 파일로 바꿀수 있고, 팔수도 있다.
3.게임메이커 스튜디오 2
사이트 주소: store.steampowered.com/app/585410/GameMaker_Studio_2_Desktop/
여기서부터 전문적인 게임제작 엔진이다.
코드를 주로 사용하지만, 게임 메이커 8.0 프로그래머와 같이 블럭도 지원하긴한다.
앱과 exe 파일로 바꿀수 있다.
하지만, 비싼 가격이 문제.
4.유니티
사이트 주소: www.unitysquare.co.kr/?utm_source=Naver&utm_medium=cpc&utm_campaign=UniteSeoul2020
가장많이 쓰는 게임엔진.
c# 언어와 자바스크립트 언어를 기반으로, 3d를 지원하며, 위의 exe, 앱등을 지원한다.
무료판이 있으며, 단점은 돈을 번다면 수수료를 떼간다.
이상 게임 만드는 법에 대한 글을 마친다.
'게임 > 게임 잡학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여봐요 동물의 숲 - 데이터 삭제 후 백업 데이터 복구 문의 결과 (0) | 2021.08.28 |
---|---|
마인크래프트가 성인화가 되었다고? 마인크래프트 성인화 사건이 일어난 이유 (0) | 2021.07.08 |
게임에는 어떤 장르들이 있을까? : 장르에 대한 자세한 고찰 (0) | 2021.01.29 |
또 대기열이야? : 대기열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8.08 |
[리그 오브 레전드] 롤 친구창 오류 또는, 그외 오류 해결법. (0) | 2020.08.04 |